우리나라는 국가 교육과정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를 현장의 교사들이 활용하여 수업한다.
즉, 국가 교육과정이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의 근간이 된다.
우리 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변천사를 간단하게 되짚어보면 이렇다.
- 1차 교육과정 개정 : 1954년 4월 ~ 1963년 2월
- 2차 교육과정 개정 : 1963년 2월 ~ 1973년 1월
- 3차 교육과정 개정 : 1973년 2월 ~ 1981년 12월
- 4차 교육과정 개정 : 1982년 1월 ~ 1987년 6월
- 5차 교육과정 개정 : 1987년 7월 ~ 1992년 9월
- 6차 교육과정 개정 : 1992년 10월 ~ 1996년 12월
- 7차 교육과정 개정 : 1997년 1월~ 2009년 2월
(7차 교육과정 이후로는 전면개정이 아닌 수시로 부분적 개정이 이루어짐)
- 2007 개정 교육과정
- 2009 개정 교육과정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22 개정 교육과정
2023년인 현재는 2015 교육과정이 적용중이며 고시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24년에 초등 1, 2학년,
2025년에 초등 3, 4학년 및 중1, 고1,
2026년에 초등 5, 6학년 및 중2, 고2,
2027년에 중3, 고3까지 완전히 적용된다.
초등학교현장에서는 내년인 2024년에 2022개정 교육과정 도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니만큼 올 1년이 새로운 개정교육과정에 대한 준비기간인 셈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육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가장 특징적인 점은 디지털 소양교육과 생태전환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2 개정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정의 첫번째 배경으로서 '인공지능 기술발전에 따른 디지털 전환, 감염병 대유행 및 기후, 생태환경변화, 인구 구조 변화 등에 의해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육과정 구성 중점의 첫 번째 항목 역시 '디지털 전환, 기후, 생태환경 변화 등에 따른 미래사회의 불확실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의 삶과 학습을 스스로 이끌어가는 주도성을 함양한다' 라고 제시하고 있다.
즉, 기술발전에 따른 디지털 기초 소양교육과 생태전환교육의 필요성을 가장 첫 번째로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지털 기초 소양교육과 생태전환교육이라는 이 두가지 강조점은 학교수준이나 학급수준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에서 고려할 사항일 뿐만아니라 과학교과 교육내에서도 깊이있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을것이다.
다음 글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특징적인 두 가지 강조점에 대해서 하나씩 심도있게 다루어보며 디지털 소양교육,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과학교육 들여다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세대의 새로운 기초 소양, 디지털 소양! (0) | 2023.02.05 |
---|